의대 합격! 고등학교 생기부 채우는 방법
2022.03.17


ㅣ의대합격! 고등학교 생기부 채우는 방법
ㅣ고1, 고2를 연결하라!
ㅣ어떻게 스스로 생물학 공부를 하는가?
면역에 관해 논문을 읽던 중 헷갈리는 개념이 있으면 이런 식으로 의학 사이트에서 간단한 개념을 찾아보며 빈틈을 채웠습니다. 그림과 함께 공부하면 오래 기억하기 좋습니다.
재생에 관해 세포학 실험을 동아리원들과 진행하는 모습입니다. 이 실험은 제가 모두 준비하여, 재료 구입부터 계획까지 오랜 시간 투자했습니다. 이 실험을 저는 생2와 자소서에 기입하였고, 대입에 결정적인 도움이 되었습니다.
ㅣ어떻게 공부한 내용을 생기부에 채울까?
우선 세특과 공부한 내용 엮는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배운 교과 내용과 연관 짓는 것입니다. 저의 예로는 영어 시간에 줄기세포 관련 글을 읽었었고, 그래서 저는 이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과정에서 어떤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지 ‘면역’을 다시 언급했습니다. 이와 같이 수업 시간에 자세히 보시면 반드시 여러분이 공부하고 있는 학문 분야와 엮을 것이 나올 겁니다.
ㅣ어디에 채우는 게 좋을까?
1. 생명과학 2 세특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대 면접에서 주로 묻는 항목이 생2이므로 신경을 많이 쓰셔야 합니다.
2. 화2 세특입니다. 이 역시 면접에서 묻는 교과목인 만큼 교수님들이 읽어보신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3. 동아리, 진로란. 이 두란에 불필요한 활동을 열거하기보단 본인이 스스로 공부했던 것들을 기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논문 읽기나, 본인이 진행한 실험을 채우세요.

위 사진은 영어 시간에 학습한 내용에 관해 제가 작성한 세특 보고서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생님들께 제출하시거나 수업 시간에 발표를 하여 생기부를 채울 수 있습니다. 평소엔 생물 공부를 하시다가 중간 기말시험이 끝나고 저처럼 보고서를 쓰시면 됩니다. 다만, 어떤 주제로 잡고 얼만큼의 퀄리티로 보고서를 작성해야할지 막막하실 수 있습니다. 힘드시다면 이지수능교육의 전공별 입사관 출신 컨설턴트 선생님들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생기부 전반의 방향부터 심화 탐구 보고서까지 도와주기에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